Learning Korean with Confidence, Anytime, Anywhere

Learn Korean

more

30 Essential Korean Words for Introducing Yourself (with Examples)

When you're learning Korean, one of the first things you’ll want to do is introduce yourself. Whether you’re in class, meeting new people, or taking the TOPIK exam, these basic words will help you talk about your name, age, job, nationality, and more. Here are 30 beginner level Korean words you can use when introducing yourself.Vocabulary List: 자기소개 (Introducing Yourself)KoreanEnglishExample Sen..

Resources 2025.04.20 0

유아 한글 공부 - 숫자 놀이 활동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어의 숫자 중 중국어에서 유래한 "Sino-Korean Numbers"에 대한 활동지를 준비했습니다. 한자어 숫자는 주로 큰 숫자에 사용되며, 주소, 시간(분), 날짜, 돈을 셀 때 사용됩니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 아이들 대상으로 만든 유아 무료 학습지라 지시사항이 영어로 적혀있습니다. PDF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가입 불필요)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숫자 익히기 - 플래시카드나 카드놀이로 활용하기 2. 빈칸 채우기 활동지 두장 3. 순서대로 선잇기 활동지 두 장 1-sino-korean-number-worksheet Today, let's delve into Sino-Korean Numbers. These special number..

Resources 2023.11.23 43

외래어 Jacket 재킷 자켓 표기법

일상생활에서는 재킷보다는 자켓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재킷, 자켓 중 어떤 것이 올바른 표기법일까?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의 답변에 따르면 '재킷'이 맞다.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발음 [ᴂ]는 한글 ‘ㅐ’로, 발음 [i]는 한글 ‘ㅣ’로 각각 표기합니다. 따라서 Jacket [Jᴂkit]은 ‘자켓(X), 쟈켓(X)’ 대신에 ‘재킷’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1001786

Common Mistakes 2023.05.03 1

Common mistake

more

외래어 Jacket 재킷 자켓 표기법

일상생활에서는 재킷보다는 자켓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재킷, 자켓 중 어떤 것이 올바른 표기법일까?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의 답변에 따르면 '재킷'이 맞다.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발음 [ᴂ]는 한글 ‘ㅐ’로, 발음 [i]는 한글 ‘ㅣ’로 각각 표기합니다. 따라서 Jacket [Jᴂkit]은 ‘자켓(X), 쟈켓(X)’ 대신에 ‘재킷’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1001786

Common Mistakes 2023.05.03 1

이번주 vs 이번 주 띄어쓰기

오늘은 '이번 주' 띄어쓰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한글 맞춤법-띄어쓰기에 따라, 각 단어는 띄어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번 주는 '이번'+'주'로 구성된 단어입니다. '이번'은 곧 돌아올 차례. 또는 막 지나간 차례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며, '주'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칠일 동안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그래서 '이번'과 '주'는 각각 의미를 가졌다고 보며 '이번'과 '주'는 띄어 써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다음 주, 다음 해'도 '각각 띄어 써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주, 지난달, 지난해는 붙여 씁니다. '지난'과 '주, 달, 해'를 각각 보지 않고 하나의 단어로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주'는 '이번 주의 바로 전의 주'라는 하나의 의미를 가지며 합성어입니다. 지난주, 지난달, 지난..

Common Mistakes 2023.03.15 0

한국어한국어발음: ㅚ, ㅙ,ㅞ 구별?

오늘은 'ㅚ, ㅙ, ㅞ' 에 대해서 알아봐요. 우선 세 자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시겠어요? 외 왜 웨 정말 비슷한 소리가 나죠? 한국인은 무의식적으로 글자를 읽고 사용하기 때문에 어 소리가 같네? 비슷하네? 지금 깨달은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ㅚ'는 원래 소리를 낼 때 첫 소리와 끝 소리의 입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모음에 속해요. 그러나 이중모음처럼 읽으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읽게되면 소리를 낼 때의 첫 입모양 내고 난 후의 마지막 입모양이 달라지는 걸 발견하실 수 있을 거예요. 동그랗게 오므려졌다 살짝 벌어지는 것처럼 첫 소리와 끝 소리를 발음할 때 입모양이 변하는 모음을 이중모음이라고 해요. 오늘 날 'ㅚ'는 이중모음처럼 읽는 경우가 흔해졌어요. 아마 학교에서도 구분해..

Common Mistakes 2023.03.02 0

한국어발음: 이중모음 ㅢ 발음법

'ㅢ'는 'ㅡ' 와 'ㅣ'가 결합한 글자입니다. 'ㅢ'는 [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상황에 따라 [이]혹은 [에]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첫 음절에 오는 '의'는 [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아래 단어를 한 번 읽어보세요. '의사' '의자' '으사', '으자' 라고 발음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발음하기가 조금 어렵지만 '의사'가 올바른 발음입니다. 언제 '이' 로 발음할 수 있을까요? 첫 음절 다음에 오는 [의]는 [이]로 발음할 수 있어요. 다음을 읽어보세요. '민주주의' '정의' [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도 허용합니다. 민주주의 (o) / 민주주이 (o) 정의 (o) / 정이 (o) 또한 자음이 있는 'ㅢ'는 무조건 'ㅣ'로 발음합니다 무늬 (x)-> 무니 (o) 희망 (x..

Common Mistakes 2023.02.28 0
반응형